
2022.08.01 ~ 2022.08.03 웹 지도 서비스를 위해 필터링 기능을 추가하려고 한다, 모든 구의 layer가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구를 입력했을 때 해당 구의 layer만 띄우는 것이다. 결과만 띄우니깐 굉장히.. 한 게 없어 보이지만.. 상당히 오래 걸렸다.. 차장님 저도 진도 빠르게 나가고 싶어여......ㅜㅜㅜ let set_sql = () => { var sql_value = document.getElementById('sigungu').value; var sql_text = 'sig:'+sql_value; console.log(sql_text); var wmsLayer = L.tileLayer.wms("http://192.168.10.104:8090/ge..

2022.07.27 1. 서버 (Ubuntu 환경)에 Geoserver 설치 2. GIS 지도 퍼블리싱 웹 지도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서버에 Geoserver를 설치해주었다. 예전에 졸업작품할 때 JS로 어떡해 해야할지 몰라서 갈팡지팡하고 있을 때 교수님이 지오서버 쓰라고 하셨었는데... 지오서버는 DB에서 Layer만 추가해주면 알아서 미리보기로 띄워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할 게 적어서(?) 그러셨던 것 같다. Geoserver의 역할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관계도가 있어서 가져왔다! 음.. 설치는 구글링을 통해 쉽게 할 수 있었다. 따로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기본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주어지기 때문에 설치만 하고나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

2022.07.26 어제는 url에 ~ /geoservermap/index를 추가해야지만 지도를 띄울 수 있었다. 차장님이 웹사이트를 열었을 때 바로 지도가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대서 수정을 했다. 먼저 프로젝트(geoserver)의 urls.py 폴더를 수정해야 한다. urlpatterns = [ path('admin/', admin.site.urls), path('', include('geoservermap.urls')) ] 다음으로 앱(geoservermap)의 urls.py 폴더를 수정한다. urlpatterns = [ path('' , views.index) ] 이렇게 수정해주면 다음과 같이 사이트에 접속하기만 하면 지도가 뜨게 된다.

2022.07.25 이번 주의 시작은 Django를 사용해 웹에 지도 띄우기로 하려고 한다. 기존의 Javascript로 만든 웹 사이트와 다른 점은 코드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하다고 한다! 프로젝트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전체 프로젝트 이름을 geoserver로 설정해주었고, 안에 geoservermap이라는 프로젝트를 만들어주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었기 때문에 settings.py에 다음과 같이 추가해주어야 한다! > INSTALLED_APPS = [ 'django.contrib.admin', 'django.contrib.auth', 'django.contrib.contenttypes', 'django.contrib.sessions', 'django.contrib.messages', 'd..

2022.07.04 ~ 07.15 처음 1주차, 2주차는 코드잇 강의들을 보며 파이썬과 장고를 공부했다. Django는 설치..?와 쓰는 방법 정도만 배웠던 것 같다! 아무튼 3주차가 되어서야 정말.찐.실습을 시작했다! 2022.07.18 나도 드디어 이제 서버를 받았당! 이름은 gr_server ㅎㅅㅎ 왜 gr인지 고민하다가 다른 사원님 서버 보고 이유를 알았다ㅋㅋㅋ다들 그렇게 쓰나보다. 또다시 아무튼 내가 해야할 일은 Postgresql에 있는 시군구 데이터를 geohash의 형태로 바꾸는 것이었다! 사실 geohash 자체도 처음들은 개념이다. hash, 즉 해시함수의 의미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를 말한다. 따라서 geohash는 공간 상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