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백슬래시) 출력 print(" \\ ") 2. " " (큰따옴표) 출력 print(" \" ") 3. ' ' (작은 따옴표) 출력 print(" \' ") ~응용~ 백준 알고리즘 25083번 print(" ,r\'\"7") print("r`-_ ,\' ,/") print(" \\. \". L_r\'") print(" `~\\/") print(" |") print(" |") # 작은따옴표랑 ` 구분 잘하기 # / 와 \ 구분 잘하기 왁 1단계 끝!!!
🦖 Programming/Python
2022. 6. 30. 02:58

위의 내용은 책을 보고 공부한 것을 기억하기 위해 작성한 기록장이다. 1. px을 %로 바꾸기 - 가변 그리드 가변 그리드 공식 (가변 크기로 만들 박스의 가로 너비 ÷ 가변 크기로 만들 박스를 감싸고 있는 박스의 가로 너비) * 100 = 가변 크기의 % 값 Q. wrap 또는 wrapper라는 박스가 소스에 항상 있는 이유 웹사이트의 소스를 보면 wrap 또는 wrapper라는 아이디를 쓰는 태그로 모든 태그들을 감싸고 있는 소스를 자주 볼 수 있다. wrap 또는 wrapper라는 요소로 박스 전체를 감싸면 웹 문서 내용 전체의 크기나 배경색 등을 한꺼번에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 화면 크기에 상관없이 웹문서의 내용을 중앙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반응형 웹에서는 자식 박스들이 가변..
🦖 Programming/HTML, CSS
2022. 2. 22.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