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07.27 1. 서버 (Ubuntu 환경)에 Geoserver 설치 2. GIS 지도 퍼블리싱 웹 지도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서버에 Geoserver를 설치해주었다. 예전에 졸업작품할 때 JS로 어떡해 해야할지 몰라서 갈팡지팡하고 있을 때 교수님이 지오서버 쓰라고 하셨었는데... 지오서버는 DB에서 Layer만 추가해주면 알아서 미리보기로 띄워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할 게 적어서(?) 그러셨던 것 같다. Geoserver의 역할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관계도가 있어서 가져왔다! 음.. 설치는 구글링을 통해 쉽게 할 수 있었다. 따로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기본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주어지기 때문에 설치만 하고나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

2022.07.26 어제는 url에 ~ /geoservermap/index를 추가해야지만 지도를 띄울 수 있었다. 차장님이 웹사이트를 열었을 때 바로 지도가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대서 수정을 했다. 먼저 프로젝트(geoserver)의 urls.py 폴더를 수정해야 한다. urlpatterns = [ path('admin/', admin.site.urls), path('', include('geoservermap.urls')) ] 다음으로 앱(geoservermap)의 urls.py 폴더를 수정한다. urlpatterns = [ path('' , views.index) ] 이렇게 수정해주면 다음과 같이 사이트에 접속하기만 하면 지도가 뜨게 된다.

2022.07.25 이번 주의 시작은 Django를 사용해 웹에 지도 띄우기로 하려고 한다. 기존의 Javascript로 만든 웹 사이트와 다른 점은 코드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하다고 한다! 프로젝트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전체 프로젝트 이름을 geoserver로 설정해주었고, 안에 geoservermap이라는 프로젝트를 만들어주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었기 때문에 settings.py에 다음과 같이 추가해주어야 한다! > INSTALLED_APPS = [ 'django.contrib.admin', 'django.contrib.auth', 'django.contrib.contenttypes', 'django.contrib.sessions', 'django.contrib.messages', 'd..

2022.07.04 ~ 07.15 처음 1주차, 2주차는 코드잇 강의들을 보며 파이썬과 장고를 공부했다. Django는 설치..?와 쓰는 방법 정도만 배웠던 것 같다! 아무튼 3주차가 되어서야 정말.찐.실습을 시작했다! 2022.07.18 나도 드디어 이제 서버를 받았당! 이름은 gr_server ㅎㅅㅎ 왜 gr인지 고민하다가 다른 사원님 서버 보고 이유를 알았다ㅋㅋㅋ다들 그렇게 쓰나보다. 또다시 아무튼 내가 해야할 일은 Postgresql에 있는 시군구 데이터를 geohash의 형태로 바꾸는 것이었다! 사실 geohash 자체도 처음들은 개념이다. hash, 즉 해시함수의 의미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를 말한다. 따라서 geohash는 공간 상의 ..

urls.py 디렉토리 안의 기본 이동 경로를 살펴보면 URL에서 /admin이 나오면 admin.site.urls로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http://127.0.0.1:8000/admin 다음 URL 접속 시 장고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로그인 웹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urlpatterns = [] 에 새로운 url을 추가해보자! from django.urls import path, include path('foods/', include('foods.urls')) django.urls로 부터 include 함수를 받아온 다음, url에 /foods가 있을 경우 foods.urls, 즉 foods 앱의 urls.py 디렉토리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기존 foods 디렉토리에서는 urls...

1. 앱(APP) 생성하기 python manage.py stratapp foods // python manage.py stratapp (앱 이름) // foods 이름의 앱 생성 ls 를 이용해 프로젝트로 위치를 이동한 다음 foods 이름의 app을 만들어 주고 code .을 통해 Vs code를 확인한다. 이전에 없었던 foods 디렉토리가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새로운 앱을 만들었다면 장고에게 새로운 앱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려줘야 한다. settings.py 디렉토리 안의 INSTALLED_APPS (앱 정의) 부분에 만든 앱을 추가 시켜 준다. settings.py의 INSTALLED_APPS 항목에 app을 추가할 때 아래처럼 항상 끝에 ,(콤마)를 붙여주면 안..